경영컨설팅

투자유치 -​ 4. 벤처캐피탈(VC)_3

이스트프렌즈 2020. 3. 28. 06:00

 

PART 4

#투자유치-​ 4.#벤처캐피탈(VC)

 

 

벤처캐피탈 기업정보

투자재원상위 10개사로는 한국투자파트너스, LB인베스트먼트, 스틱인베스트먼트, 인터베스트, 한화인베스트먼트, 프리미어파트너스, 에이티넘인베스트먼트, 대성창업투자, 엠벤처투자, 케이비인베스트먼트 이다.

 

 

 

 

*DEMODAY사이트 참조(http://www.demoday.co.kr/investors)


 

파트너 및 심사역

벤처캐피탈에는 파트너와 심사역으로 구성되어 있다.

2019년 2월 현재 한국 내의 벤처캐피탈 심사역은 1,006명이 있으며, 심사역 한 사람당 1년에 3~4곳 정도의 회사를 담당한다. 심사역 단독으로 투자하지는 않는다. 보통 벤처캐피털 하우스의 임원급 3~5명을 모아 투자심의위원회(약칭 투심위)를 구성한 후 심사역이 발제한 투자건에 대한 의사결정을 한다.

그 외에, 초기기업 투자를 하는 경우 의사결정 구조가 다를 수 있다. A사는 파트너 1명에게 1표씩이 있고 심사역 전체에게 1표가 있다. 가령 파트너가 3명 있다면 총 4개의 표가 있는 식이다. B사는 심사역이 파트너 1명을 설득하면 투자가 이루어진다.

 

파트너: 조직 관리와 더불어 전체 투자 전략, 의사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친다. 보통 총 경력 20년 이상의 40대 후반에서 50대가 보통. 연봉은1.5억 ~ 3억 연봉을 받는다.

 

수석심사역: 업무상으로는 하기 "팀장", "책임심사역"과 큰 차이는 없으나, 보다 나이가 많고 다양한 투자를 직, 간접적으로 경험한 경우 주어지는 직급. 민간기업에서 이직해올 때는 과장, 차장급 출신이 많다. 총 경력 10년 정도의 30대 후반 ~ 40세 정도. 7,000만원 ~ 1억의 연봉을 받는다.

 

책임심사역: 가장 열심히 실무를 뛰는 직급. 딜소싱도 하고 기업 분석도 해야 한다. 페이퍼웍도 가장 많이 한다 대기업의 대리나 과장과 포지션이 유사하다. 총 경력은 3 ~ 7년 정도. 연봉은 하우스, 경력, 나이에 따라 천차만별이지만 2015년 현재 4~5년차 심사역은 대기업 과장급 대우를 받으며 세전 5,000~7,000만원의 연봉을 받는다.

 

심사역: 타 기업에서 1~2년 정도 근무하다 넘어온 경우로, 2015년부터는 일부 대졸 신입들도 보이기 시작했다. 사회생활 초년생보다는 타 산업 경력으로 진입하는 경우를 선호하며, 나이는 35세 이전을 선호한다. 아무래도 경력이 부족하기에 독자적으로 투자를 집행하기보다는 선배들과 함께 페어링 되어 실무를 담당하는 경우가 대다수. 일반적으로 1~3년차 심사역은 대기업 사원에 비해 딱히 나을 것이 없는 대우를 받는다. 연봉은 세전 4,000~5,000만원 정도이다.

 

창업기업이 투자사로부터 투자를 받기 위해서는 경쟁률 200:1 이다. 2015년 8월 현재 벤처기업협회에는 30,452개의 벤처기업이 등록되어 있고, 이제 막 창업을 시작한 벤처기업은 85,000개가 있다. 이들 모두가 투자를 받을 수는 없다.

 

 


스타트업을 유니콘으로

#유니콘프렌즈(unicornfriends) |#유에프창업아카데미

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로169, 2층 (팁스타운 명우빌딩)

www.unicornfriends.net